- 유튜브 영상링크를 통해 공부!
-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지원한 'SW중심대학'의 결과물
전통적 인프라 구조
- 각 서비스 별로 독립된 물리 서버 사용
- (단점)높은 구축 및 운영 비용
- (단점)낮은 서버 사용률(10~20%)
가상화 인프라 구조
- 물리 서버를 가상화하고 여러개의 가상 서버를 생성하여 독립적으로 사용
- (장점)구축 및 운영 비용 절감
- (장점)성능 저하 거의 없음
- (단점)가상 서버 관리에 전문성 필요
클라우드 구조
- 가상회된 서버에 자동화된 관리 서비스 추가
- 접근 권한, 사용량, 비용 책정 관리 등
- 여러 부처, 다수의 사용자가 가상 서버를 생성하여 독립적으로 사용
- (장점)다수의 비전문 사용자가 자유롭게 활용 가능
- (단점)관리 서비스 구축으로 인한 비용 증가
- 가상화 인프라 구조 기반에서 클라우드를 구현하는 SW 계층이 추가
컴퓨팅 구조의 변천
- Grid Computing
- Utility Computing
- Server Based Computing
- Network Computing
클라우드 정의
- 공공 시설을 쓰는 것 같은 컴퓨팅 환경
- 필요할 때, 필요한 만큼만 사용
- 분산 컴퓨팅 환경 기반
- 각 노드에 속한 컴퓨팅 자원 등을 가상화해 관리
- 가상 자원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만큼 할당
클라우드 컴퓨팅 주요 속성
- (온디맨드 셀프 서비스)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
- (광범위한 네트워크 액세스)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
- (리소스 풀링) 위치와 무관하게 동적 할당, 컴퓨팅 자원 공유
- (빠른 탄력성) 수료에 따라 빠르게 확장 및 축소 가능
- (측정된 서비스) 서비스 사용의 투명성 제공
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
- (SaaS)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근, IaaS, PaaS 부분은 사용자가 관리안함
- (PaaS)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인프라에 배포하고 관리 하며 IaaS는 공급자가 관리 그외 부분은 사용자가 관리
- (IaaS) 사용자에게 기본 컴퓨팅 자원을 제공, 운영체제, 플랫폼, 애플리케이션 실행환경은 사용자가 관리
클라우드 컴퓨팅 배포 모델
- 프라이빗 클라우드
- 퍼블릭 클라우드
- 하이브리드 클라우드
- (+) 멀티 클라우드